바로가기 메뉴
왼쪽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하단영역 바로가기

자료실

파라다이스 복지재단의 과거사업에 대해 만나보세요.

게시판
[에세이-고정욱] 삶의 통쾌한 순간
사업영역 [활성] 장애인식개선사업 > [활성] 칼럼/에세이
사업기간 (사업내용 개발 후 작업 예정)
등록일 2020-07-16 오전 10:27:39

삶의 통쾌한 순간

 

 

고정욱 작가


내가 어렸던 시절엔 우리나라 곳곳에 미국 국기와 한국 국기를 그려놓고 두 손이 악수하는 로고가 많이 보였다. 물건은 물론이고, 건물 입구의 머릿돌 같은 것에도 이 그림이 여기저기 그려져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미국이 한국에 원조 물품을 보내 줄 때 그렇게 악수하는 로고를 새겨 보내주는 거였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다. 내가 어렸던 1960년대에는 그 가난에서 채 벗어나지 못하고 있던 시절이었다. 밥 굶는 사람들이 즐비했고, 학교에서 도시락을 싸 오지 못해 물로 배를 채우는 아이들이 많았다. 도시락을 나눠 먹기도 하고, 가난한 아이들에게는 옥수수빵을 학교에서 배급했다. 각종 구호물품들이 미국으로부터 들어 왔다.

 

다행히 경제 개발이 되면서 이제는 가난했던 우리가 남을 도와주게 되었다. 전세계 구호기관이 우리나라에 물건들이나 돈을 보냈다. 유니세프의 도움으로 가루 우유를 먹던 우리나라가 이제는 유니세프 후원자만 32만 명이 있고 922억원의 기부금을 내서 전 세계 4위라고 한다. 도움을 받다가 남을 돕게 된 유일한 나라가 우리나라라고 하니 무척 자랑스럽다.


어린 시절, 나는 남들보다 더 도움을 받아야 하는 장애아였다. 목발을 짚고 길가에 나가 동네 친구들과 놀고 있노라면 지나가던 할머니나 아줌마들이 나에게 십원 짜리 지폐를 손에 쥐어주곤 했다. 내가 거지가 아니라고 해도 왠지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돈을 주어야 할 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 모양이었다. 물론 그 돈을 나는 친구들과 함께 나눠 물건을 사서 쓰기도 하고 까먹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나는 절대 도움 받으며 사는 사람이 되지 않겠노라 결심했다.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에서는 말했다. 한번 도움을 받기 시작하면 그 도움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도움을 받거나 누군가에게 구호를 해 주는 건 자존감을 낮추는 행동이고 자립심을 떨어뜨린다는 의미이리라.

 

그렇다. 진정한 자립과 진정한 독립은 자신의 생계를 자신이 유지하는 것이고 남의 도움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성경에도 나오고 있다. 시작은 미약하나 끝은 창대하리라고. 나는 진정한 삶의 완성은 도움 받은 자가 남을 돕는 거라고 생각한다. 도움 받은 자가 영원히 도움을 받아야 한다면 그 삶은 얼마나 팍팍한가. 재미없다. 진정 통쾌하고 멋진 순간은 쥐구멍에 볕이 드는 것이고,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빼내는 것이며, 도움 받은 사람이 스스로의 힘으로 벌떡 일어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런 세상을 만드는 것이 우리들 모두의 공동 목표이다.

 

 

 

 

 작가 고정욱  

 
*성균관대학교 국문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다. 어려서 소아마비를 앓아 1급 지체 장애인으로 휠체어를 타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다. 하지만 장애인과 더불어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선험’이 당선되었고, 장편소설 ‘원균 그리고 원균’이 있다. 장애인을 소재로 한 동화를 많이 발표했다. 대표작으로《아주 특별한 우리 형》, 《안내견 탄실이》, 《네 손가락의 피아니스트 희아의 일기》가 있다. 특히 《가방 들어주는 아이》는 MBC 느낌표의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에 선정도서가 되기도 했다. 현재 활발한 강연과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자료실 목록
패밀리 사이트 보기